'chelsea FC'에 해당되는 글 1건

  1. We envy the Angels in a good way : Human Nature 1 2013.03.01

image: http://jezebel.com/5560491/puppy-love

FC Barcelona 유니폼은 틈틈히 바뀌어서 팬들의 유니폼 수집을 부추기고, 여러 고품격 브랜드들은 여자들에게 새로운 의류와 구두에 마음이 설레이면서 돈도 아껴야 하니까 "품위유지 이거 쉽지 않아"라는 생각도 틈틈히 잊지 않게 해주고, 수많은 자동차 브랜드는 새로운 디자인과 색상 그리고 성능으로 남성들을 쥐었다 폈다하면서 그 강인한 마음을 흔들어 놓는다. 드물지만 기업들의 로고 디자인도 바뀐다. 더 드문 주기로 브랜드 포지셔닝이 변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브랜드 이름은 대체로 안바뀐다. 이런 부분이 바로 브랜드의 태생적 한계 같다.
Coca Cola, Ford, Disney, Salvatore Ferragamo, Virgin, kellogg's, Budweiser... 필기체 텍스트를 사용하는 브랜드는 모두 저쪽 브랜드다. Baidu, Toyota, Hyundai, Samsung, Daum... 이쪽 브랜드는 텍스트 로고를 필기체로 쓰지 않는다. Apple, Facebook, Starbucks, LinkedIn, Salesforce, McDonald's 단어도 쉽다. 물론 경쟁사들끼리 거미줄처럼 주식 보유가 얽혀있지만 말이다. 좀 빤한 사실이지만 거지도 유창한 영어를 쓴다는 미국 사람들 뿐만 아니라 그냥 어른이라면 요게 어떤 느낌인지 잘 이해할 것이다. 그런데 예를 들어 생각해보면 훨씬 더 환하게 다가온다. 저 친구들이 쌤성, 쌤성 하는게 어떤 느낌인지. 한국어 브랜드 신세계, 하나은행, 현대백화점... 우리는 아주 익숙하고 자연스럽다. 그런데 굴지의 캄보디아, 베트남 브랜드가 코스피 시총 TOP 30에 위치한다고 상상하면 훨씬 삼성과 현대가 저쪽에서 어떤 느낌인지 더 이해가 쉬울 것 같다. 브랜드를 얘기하는게 엉뚱하고 주제넘지만 삼성과 현대도 좋아하고 저번에 놀이터에서 만났던 캄보디아 총각도 잘생겼고 친절하고 영특하고 올림픽과 월드컵도 계속 열리지만 그냥 이런 관점도 있겠다, 그 차이를 착한 기업 이미지로 채웠으면 좋겠다는 커피 타임 스몰톡 정도!

  • 붓글씨 한중일 글씨로 저쪽 브랜드 이름을 쓰는 것
  • 나라마다 외국계 기업이 다 달라 그리고 그 외국계 기업 이미지도 그렇고
  • 저쪽 바둑 동호회에서 활동하는 Adam, Alice, Erika, Bob 그리고 우리쪽 체크 클럽
  • 머파이 쁘람 (K리그, 수원삼성이 아니라 수원 쁘람)
  • 트렁 누안 (K리그, 포항 스틸러스가 아니라 포항 누안)

이런 느낌 영화에서도 많이 쓰인다. 영화 Yes Man에서 짐 캐리의 한국어 구사, 영화 5년째 약혼중에서 케익에 씌여진 글씨등 이런 예는 많다. 이와 같은 브랜드 한계 포인트처럼 영화나 드라마도 그렇다.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ities_in_Germany_by_population
로고 디자인 멋지다. 눈이 즐거운 작품이 이렇게 상표나 영상미가 이쁘다고 한다면 귀까지 흥미로운 영화에서는 음악과 소리를 아주 잘 사용한다. 

  • Robot & Frank 클래식 음악
  • The Five-Year Engagement 깐쏘네(맞나?), 브라스밴드
  • Ruby Sparks, Take This Waltz 영화에 쓰인 적합한 음악
  • IMDB 별 8,9개 영화들의 음악과 효과음들

수많은 영화제 시상분야와 극작품 엔딩 크레딧 그리고 학문적 전문 분야로 세분화하면 훨씬 복잡하겠지만 단순히 영상과 사운드의 조화만 놓고 봤을 때 이런 느낌이 있다. 좀 띨띨한 킬러가 침대에서 Mozart 오페라 마술피리 "밤의 여왕의 아리아"를  듣고 일어나는 그 영화가 뭐였드라... 이런 장면이 기억에 남는다. 2012년 영화 Love Is All You Need다시 뜨겁게 사랑하라, 2011년 영화 The Descendents디센던트에 나오는 풍광과 컬러들 완전 눈부시고 여러 감정들을 전해주지만 imdb rate 평가없이 놔두고 싶은 예술작품이다. 벽지 디자인과 채도, 소품, 배우... 그래서 컬러를 완전 마술처럼 보여줄 것이 아니라면 흰색을 포함해서 무난한 무채색으로 쓰는게 괜찮은 것 같다. 이 때문에 서울이라는 도시의 느낌을 외국 사람들이 시크하다고들 하나? 사람들마다 드라마와 영화에 대한 저마다 기준과 취향이 제각각이라서 이런게 브랜드에 대변되는 극 작품들의 선천적 한계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냥 즐겁게 보면 그만인데 말이다.

십대에는 은희경 소설을 읽었는데 이제는 소설 대신 트위터를 읽고 조카의 졸업식에 은희경 작가 소설이 아닌 수필집을 선물해주는 어른이 되었다. 게다가 옛날 읽었던 소설 내용이 단 하나도 생각이 안나기 때문에 드러내서 좀 슬퍼해야 하지만 속으로는 크게 상심하지 않는 나이가 되었다는 뜻이다. 그런데 우리가 단순히 Ermenegildo Zegna 환경 때문에 Tiger Mom의 비율이 높은건가? 나이는 반올림 중년이지만 아직 모르는게 너무 많으니까 어른이 아니다.

아웃라이어/말콤 글래드웰 p.254
보잉사 연구원들은 여러 문화권 사람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안간힘을 썼다... 우리는 왜 이렇게까지 민감하게 구는 걸까? 각각의 문화에는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으며, 특정한 형태로 행동하게 하는 힘이 있다는 점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것이 그토록 어려운 일일까? 개인은 그가 속한 문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